K-결제, 기술 수출을 넘어 경제외교의 중심축으로

 대한민국의 디지털 역량이 결제 시스템을 통해 국경을 넘고 있다. 단순한 기술 수출을 넘어, 우리나라의 결제 인프라 구축 경험과 노하우가 개발도상국의 금융 선진화를 이끄는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BC카드와 같은 국내 금융 기술 기업이 이끄는 이 흐름은 ‘K-결제’라는 이름 아래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지급결제 인프라는 단순한 금융 서비스가 아니다. 그것은 경제 활동의 혈관이자,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다. 따라서 이를 다른 나라에 전수한다는 것은 기술 이전을 넘어 경제구조 개선과 디지털 주권 확보를 지원하는 중대한 행위다. 상대국은 이를 통해 외국 기업이나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결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자국 내 금융 주권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우리나라의 사례는 이러한 흐름의 모범이다. 90년대 후반 전자금융의 기반을 마련한 이후, 국내 결제 인프라는 급속한 속도로 발전해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비대면 결제 환경이 급부상하면서 그 기술적 완성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BC카드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과 협력해 중앙은행 주도의 결제망을 구축한 사례는 이러한 기술력이 실질적인 국제 경제협력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 강서티켓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 수출은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 외교적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 나라의 금융 인프라에 한국의 기술이 뿌리내릴수록, 그 국가는 자연스럽게 대한민국과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가게 된다. 이는 자연스레 경제외교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디지털 질서 속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을 민간 기업에만 맡겨둘 수는 없다.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단기적인 수익성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경제 협력의 외교적 의미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결제 인프라는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만큼, 단순한 수출상품이 아닌 ‘전략 인프라’로 인식되어야 한다.


K-콘텐츠, K-뷰티를 넘어 이제는 K-결제가 대한민국의 또 다른 국가 브랜드가 될 준비를 하고 있다. 단순한 기술 전파를 넘어, 대한민국이 디지털 금융 강국으로서 글로벌 경제의 중심에 서기 위한 여정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민관이 함께 걸어가야 할 중요한 시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한국형 결제 인프라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은 단순히 기술을 파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이며, 경제 주권의 외연을 확장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정부와 민간이 손을 맞잡고 이 흐름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때, K-결제는 전 세계 디지털 금융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