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계 러브 코미디의 정수, ‘데이트 어 라이브: 영원의 여신들’ 직접 플레이해보니

 기자는 늘 이세계물과 러브 코미디 장르에 특별한 애정을 갖고 있었다. 아마도 ‘리제로’, ‘노 게임 노 라이프’, ‘데이트 어 라이브’처럼 평범한 소년이 비범한 운명에 휘말리는 이야기 구조가 주는 짜릿함 때문일 것이다. 특히 그 이야기가 게임이라는 인터랙티브 매체를 통해 재구성될 때, 몰입도는 배가 된다. 이번에 주목한 작품은 최근 국내 정식 서비스가 시작된 웹게임, ‘데이트 어 라이브: 영원의 여신들’이다.



‘데이트 어 라이브’ 시리즈는 2010년 라이트 노벨로 첫 출간된 이후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야기는 세계를 위협하는 정령 소녀들을 물리로 제압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트로 구원한다는 독특한 설정이 핵심이다. 이 터무니없어 보이지만 절묘하게 로맨스와 전투를 엮어낸 세계관이 바로 이 작품의 매력 포인트다. 게임 역시 이 감성을 놓치지 않았다.


다음 홀덤펍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데이트 어 라이브: 영원의 여신들’은 방치형 수집 RPG 장르로, 복잡한 조작 없이도 플레이가 가능해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 유저들에게 부담이 없다. 그러나 단순하다고 해서 콘텐츠가 얕은 것은 아니다. 원작의 주요 시나리오가 정성껏 구현되어 있고, 주인공 시도와 정령 소녀들 사이의 주요 이벤트가 생동감 있게 연출된다. 컷신과 캐릭터 대사, 그리고 원작을 떠올리게 하는 배경음악까지 팬심을 자극하는 요소들이 가득하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부분은 캐릭터 묘사다. ‘요시노’, ‘토카’, ‘쿠루미’ 등 인기 정령들이 풀보이스로 등장해, 실제 애니메이션을 보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전투는 자동화되어 있지만, 각 캐릭터의 스킬 연출이나 필살기 이펙트에는 제법 공을 들인 흔적이 보인다. 마치 자신이 정령들과 함께 일상을 보내는 듯한 착각마저 들게 만든다. 이 게임은 단순한 수집형 RPG를 넘어, 팬서비스와 감성 서사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한 시도가 돋보인다.


또한 일일 콘텐츠나 이벤트, 미니게임 등도 무리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데이트’를 소재로 한 미니 이벤트는 단순히 호감도를 높이는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대화가 달라지는 요소가 있어 ‘선택지 게임’의 감성도 준다. 이러한 시스템은 원작의 핵심인 ‘데이트’라는 개념을 자연스럽게 게임 속에 녹여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과금 요소는 확실히 존재하지만, 초기 진입 장벽은 낮은 편이다. 기본 정령 캐릭터들도 충분히 성능이 나오고, 과금을 하지 않아도 메인 콘텐츠를 진행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다만 캐릭터별 한정 코스튬이나 전용 장비를 얻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이 부분은 팬들의 수집욕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지만, 가벼운 유저들에게는 다소 부담이 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데이트 어 라이브: 영원의 여신들’은 원작 팬이라면 물론, 가벼운 러브 코미디 혹은 이세계물에 흥미가 있는 사람들에게도 충분히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작품이다. 원작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어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팬이라면 ‘이 장면을 이렇게 재현했구나!’하며 반가움을 느낄 순간이 곳곳에 숨겨져 있다.


게임은 결국, 즐기는 사람의 몫이다. 그러나 ‘하이스쿨 DxD’처럼 노골적인 팬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작품과 달리, ‘데이트 어 라이브: 영원의 여신들’은 로맨스와 서사, 캐릭터 간의 감정선까지 챙기려는 진지한 노력의 흔적이 돋보였다. 누구나 한 번쯤은 꿈꿔본 ‘이세계에서 히로인들과 함께 살아가는 판타지’. 이 게임은 그 판타지를, 부담 없이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보면, 도지마가 누워 있어도 정신적 지주가 된다는 농담도, 이쪽 세계에선 시도 정도의 멘탈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일이 아닐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