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 규제 대신 도약의 발판을 만들 때다
최근 게임업계가 마주한 다양한 현안들은 단순히 한 산업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콘텐츠가 일상에 깊이 스며든 지금, 게임은 더 이상 ‘단순 오락’이 아니라 경제, 기술, 고용,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는 종합산업이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게임에 대한 인식이 한발 뒤처져 있으며,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아쉬운 상황이다.
청년 일자리 문제도 게임 산업과 뗄 수 없는 중요한 이슈다. 현재 수많은 청년들이 게임 개발, 운영, 마케팅 등 관련 직군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 안정적인 취업의 문은 매우 좁다. 이는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과 직접 연결된다. 보다 적극적인 채용 연계형 인턴십 확대, 현장형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실질적인 청년 일자리 연계 정책이 절실한 이유다. 단순히 교육기관과 기업을 잇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정규직 전환까지 고려한 구조가 필요하다.
게임 산업에 대한 인식 전환도 빼놓을 수 없다. 게임은 여전히 일부 보수적인 시각에서 ‘질병’이나 ‘중독’의 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이는 질병코드 도입 논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e스포츠는 올림픽 종목 채택을 논의할 정도로 성장했고, 많은 국가들이 게임을 미래성장동력으로 보고 있다. 규제보다는 균형 잡힌 정책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다음 싹쓰리게임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 등 신기술과의 융합 역시 국내에서는 여전히 제약이 많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관련 규제를 완화하거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국내는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로 사업 확장이 어렵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은 투기성을 이유로 국내 서비스 자체가 막혀 있지만, 이는 글로벌 경쟁력을 잃게 만드는 대표적인 사례다. 적절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함은 분명하나, 무조건적인 금지는 오히려 국내 기업들의 역량을 해외로 흩트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콘텐츠 진흥을 위한 박람회, 전시회도 재정비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행사인 ‘지스타’ 역시 이제는 단순한 신작 홍보의 장을 넘어, 글로벌 퍼블리셔를 유치하고 B2B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중소 개발사들이 해외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연결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게임업계는 단지 기술만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산업이 아니다. 창의적인 인재, 안정된 고용 환경, 유연한 규제, 긍정적인 사회 인식, 그리고 국제적인 연계성까지. 이 모든 요소가 함께 작동해야만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게임은 지금, 전환점에 서 있다. 규제에 얽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할 때다. 미래세대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문화 콘텐츠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정부와 업계 모두의 열린 태도와 협력이 절실하다.
게임은 우리 사회가 품어야 할 미래산업이며, 변화의 키를 쥔 성장동력이다. 이제는 억제의 대상이 아닌, 키워야 할 대상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