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자산가의 진화, ‘현장감’에서 ‘전략적 운용’으로
“요즘은 땅 팔고 농기계 팔아서 펀드 든다더라.” 몇 해 전만 해도 농촌이나 지방 자산가는 보수적이고, 금융상품엔 무관심한 이미지가 컸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전국 각지의 지방 자산가들이 금융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적극적인 자산운용에 나서는 추세다. 과거에는 ‘땅 사두면 오른다’는 식의 수동적 투자에 머물렀지만, 이제는 세무 지식과 금융 정보를 갖춘 ‘전략형 자산가’가 지방에서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변화의 출발점은 현장 기반의 직관이다. 지방 자산가들은 본업과 삶이 밀착돼 있어, 경제 흐름을 몸으로 체감한다. 예컨대 축산업, 과수농가, 중소 제조업 등 실물 경제의 변동을 피부로 느끼며 투자 타이밍을 잡는다. 누군가는 농산물 가격 하락에서 경기 침체를 감지하고, 누군가는 공사 현장의 멈춤에서 금리 흐름을 유추한다. 대기업의 본사 회의실 대신 들판과 공장에서 ‘부의 힌트’를 얻는 셈이다.
다음 신용카드사용자대출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하지만 이러한 ‘현장감’은 최근 들어 ‘전문성’과 결합되며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기예금 위주로 자산을 방치해 두던 지방 자산가들이 세무 컨설팅, 자산승계 전략, 포트폴리오 분산 등 복합적 금융 관리에 눈을 뜨고 있다. 특히 토지보상금이나 스마트팜 수익처럼 급격한 유동성을 확보한 신흥 자산가들이 새로운 WM(자산관리) 수요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이 서울을 오가며 PB센터를 찾기보다는, 지방에서도 자신들의 필요를 채워줄 전문가를 직접 찾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산관리 시장의 지역 분산화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다. 일부 금융기관은 지역 전담 WM센터를 강화하거나, 비대면 컨설팅 시스템을 확대하는 등 이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지방에는 세무·회계 전문가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복합적인 자산 이슈를 해결해줄 컨설턴트 또한 한정돼 있다. 지방 자산가가 단순히 예금에서 펀드로 이동하는 단계를 넘어, 가업승계, 증여 설계, 글로벌 분산투자 등 한층 정교한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선 제도적·물리적 인프라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
지방 자산가들은 단순한 ‘로컬 부자’가 아니라, 지역 경제의 핵심 축이자 새로운 자산관리 수요의 중심이다. 이들은 ‘지금 쌀값이 얼마인지’를 아는 감각과 ‘내년 증여세율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고민하는 전략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가고 있다. 이처럼 실물 감각과 금융 전략이 맞물리는 곳에, 진짜 지속 가능한 부가 자리 잡는지도 모른다.
지방의 자산가는 지금, 진화 중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