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눈 건강, 무심코 넘기면 큰 병 부른다

 계절이 바뀌는 이맘때면 유독 눈이 가렵고 충혈되며,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대부분은 단순 피로나 꽃가루 알레르기쯤으로 생각하고 넘어가지만, 증상이 계속된다면 반드시 안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특히 봄철에는 특정 안질환이 기승을 부리며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만성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알레르기 결막염이다. 주로 꽃가루, 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등 특정 알레르겐에 반응해 눈의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가려움과 이물감, 눈꺼풀 부종, 충혈 등이 특징인데, 안약을 함부로 사용하거나 계속 눈을 비빌 경우 각막까지 손상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증상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비비다 보니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다.



또 다른 봄철 눈 질환으로는 안구건조증이 있다. 대기 중 습도가 낮아지는 봄에는 눈물이 빨리 증발하고 눈 표면이 메마르기 쉬워진다. 특히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 시간이 긴 현대인에게는 더욱 흔하게 나타난다. 눈이 뻑뻑하고 화끈거리며, 때로는 눈물이 과하게 흐르는 역설적인 증상도 동반된다. 이는 눈물층의 균형이 깨졌다는 신호로, 인공눈물 사용과 함께 주변 습도 조절, 눈 휴식이 중요하다.


다음 성기구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건조한 바람과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결막염이나 눈꺼풀 염증(안검염)도 잦아진다. 봄철에 유난히 눈곱이 많거나 눈꺼풀이 무겁게 느껴진다면 세심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하루 2회 이상 온찜질과 눈꺼풀 세정제를 사용한 청결 유지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런 질환들을 단순히 계절적 현상이라며 방치하는 건 위험하다. 특히 반복적으로 알레르기 결막염을 겪는 경우, 장기적으로는 각막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시력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 자가진단 후 스테로이드 안약을 남용하는 것도 금물이다.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는 있으나 부작용으로 안압이 상승하거나 녹내장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봄철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외출 시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꽃가루와 자외선을 차단하고, 귀가 후에는 반드시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콘택트렌즈 사용자라면 렌즈 착용을 자제하고, 증상이 심한 날에는 착용을 아예 피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활용하고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 눈의 건조함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눈에 이상 증세가 나타났을 때는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최선이다. 아무리 바쁜 일상이라도 눈 건강을 소홀히 하면 삶의 질 자체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단순히 ‘눈이 좀 피곤한가 보다’ 하고 넘기기보다는, 내 눈이 보내는 작은 신호에 귀 기울여야 할 때다.


봄은 싱그럽지만 눈에는 때때로 가혹한 계절이다. 꽃이 피는 만큼 알레르기 유발 요인도 피어난다. 밝고 선명한 세상을 오래도록 누리기 위해, 지금 내 눈을 위한 작은 관심과 관리가 절실한 시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