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목걸이와 침묵의 고리…‘건진법사’ 사건의 또 다른 퍼즐

 ‘누가 목걸이를 받았는가.’  

이 단순한 의문이 지금 검찰 수사의 중심에 놓여 있다. 6000만원대 초고가 명품 목걸이, 그리고 그 목걸이를 매개로 벌어진 권력 주변부 인맥과 의혹의 연결 고리. 이 모든 중심에는 무속인 ‘건진 법사’ 전성배 씨,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이들이 있다.



사건은 전씨의 ‘법사폰’에서 시작됐다. 통일교 핵심 인물인 윤모 전 본부장이 “김건희 여사에게 선물하라”며 전씨에게 건넨 것으로 보이는 초고가 목걸이. 문제는 이 목걸이의 실제 행방이다. 전씨는 검찰 조사에서 “잃어버렸다”고 했지만, 검찰은 이 진술을 그대로 믿지 않고 있다. 목걸이가 실제 김 여사에게 전달되었을 가능성도 여전히 열려 있기 때문이다.


논란의 불씨는 김 여사가 2022년 나토(NATO) 정상회의를 포함해 여러 공식석상에서 반클리프 앤 아펠의 고가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한 장면이 포착되면서 커졌다. 특히 해당 목걸이가 공직자 재산 신고 목록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재산 누락’ 의혹까지 번졌다. 이에 대통령실은 “지인에게 빌린 것”이라며 수습에 나섰지만, 윤 전 본부장이 전씨에게 “빌리지 말고 선물하라”고 지시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다시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제 검찰의 시선은 단순한 선물 공여 의혹을 넘어서 ‘정치적 대가성’으로 향하고 있다. 윤 전 본부장이 김 여사와의 연결을 통해 캄보디아 ODA(공적개발원조) 사업 수주를 시도한 정황이 포착된 것이다. 그는 윤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22년 3월, 윤 전 대통령과 만났고, 이후 통일교 행사에서 “ODA 사업 추진에 대해 암묵적 동의를 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 직후 ODA 대(對)캄보디아 차관 한도는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게다가 검찰은 전씨의 자택에서 발견된 1억 6500만원 현금 중 5000만원이 한국은행 포장 비닐로 싸여 있는 ‘유통되지 않는 형태’였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시중에서 볼 수 없는 이 돈의 출처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전씨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수사는 자금 흐름을 추적하며 권력과의 금전적 연관성을 파헤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다음 티스토리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또 하나의 열쇠는 전씨와 김건희 여사의 모친 최은순 씨 간의 통화 기록이다. 지난해 하반기 전씨는 최 씨와 최소 10차례 이상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안부 연락이었을까? 아니면 목걸이, 혹은 그 이상의 민감한 이야기가 오갔던 것일까?


과거 전씨가 김 여사가 운영했던 ‘코바나컨텐츠’에서 고문으로 활동했던 이력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친분을 넘어, 실제 정치권 인사 개입이나 청탁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정황이 포착된다면, 단순한 개인 간 선물 문제를 넘어선 공적 책임의 영역으로 번질 수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에서는 김 여사에 대한 소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목걸이가 실제 전달된 것으로 드러나고, 그 배경에 인사청탁이나 사업 특혜와 관련된 대화가 있었다면, 이는 ‘알선수재’나 ‘공직자 윤리법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김 여사 측은 일관되게 “목걸이를 받은 적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사건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목걸이 그 자체보다, 그 목걸이를 둘러싼 수많은 말들과 침묵이 결국 무엇을 숨기고 있는가이다. 한 점의 목걸이로 시작된 수사는, 이제 권력의 그늘에 존재했던 무속 네트워크와 그 이면의 거래를 향해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잃어버렸다”는 말 한마디가, 권력의 민낯을 드러낼 수도 있는 시작이 될 수 있다.

댓글